티스토리 뷰

코드레시피

Oracle DUMP 함수 활용 방법

코드라이프 2025. 3. 13. 16:19

 

DUMP 함수는 주어진 표현식(expr)의 내부 표현을 반환합니다.

반환되는 값은 VARCHAR2 형식이며, 표현식의 데이터 타입 코드, 바이트 단위의 길이,

그리고 내부 표현을 포함합니다.

구문

        DUMP(expr [,return_type [,start_position [,length]]])

매개변수

    1. expr (필수): 내부 표현을 얻고자 하는 대상입니다. 이는 문자열, 숫자, 날짜 등

        다양한 데이터 타입이 될 수 있습니다.

    2. return_type (선택적): 반환 형식을 지정합니다. 기본값은 10 (십진수)입니다.

        이 값에 따라 반환되는 형식이 달라집니다.

           . 10 : 십진수 (기본값)

           . 16 : 16진수

           . 8 : 8진수

           . 2 : 이진수

           . 1 : 문자열로 표현된 문자 값

    3. start_position (선택적): 반환할 값의 시작 위치입니다. 기본값은 1이며,

       주어진 값부터 출력이 시작됩니다.

    4. length (선택적): 반환할 데이터의 길이입니다. 기본값은 expr 전체 길이입니다.

 

반환 값

DUMP 함수는 VARCHAR2 타입으로 반환되며, 결과에는 다음 정보들이 포함됩니다:

  1. 데이터 타입 코드: expr의 데이터 타입을 나타내는 숫자 코드
  2. 길이: expr의 내부 표현 길이 (바이트 단위)
  3. 내부 표현: 표현식이 메모리에서 어떻게 저장되는지에 대한 실제 값

예시

예 1: 문자열의 내부 표현

 
  • Typ=1 : 데이터 타입이 문자열(문자형)임을 나타냄
  • Len=5 : 문자열의 길이가 5바이트임을 나타냄
  • 72,101,108,108,111 : 각 문자의 ASCII 코드 값 (H=72, e=101, l=108, l=108, o=111)

예 2: 숫자의 내부 표현

  • Typ=2 : 데이터 타입이 숫자형임을 나타냄
  • Len=3 : 숫자의 내부 표현 길이가 3바이트임을 나타냄
  • 0,0,0,123 : 숫자 123의 내부 표현 (바이트 순서대로)

예 3: 16진수 형식으로 반환

    . 반환 값이 16진수 형식으로 표시됩니다. H는 48, e는 65로 나타나며,

      나머지 문자는 16진수로 출력됩니다.

 

Oracle Document에 기술된 예시로 이해를 위해서 추가로 아래와 같이 보여드리겠습니다.

사용 사례

  • 디버깅: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된 값이 어떻게 메모리에 저장되는지 확인하려면 DUMP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데이터를 특정 형식으로 변환했을 때 그 결과가 예상과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• 데이터 타입 분석: 숫자, 문자열, 날짜 등 다양한 데이터 타입의 내부 표현 방식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. 이 기능은 데이터베이스 성능 분석이나 최적화에도 유용할 수 있습니다.

주의사항

  • DUMP 함수는 CLOB 데이터 타입을 직접적으로 처리하지 않습니다. 하지만 암시적 데이터 변환을 통해 CLOB 값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.
  • 반환되는 값은 항상 VARCHAR2 형식이므로, 이 값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려면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 

위와 같은 방식으로 DUMP 함수는 데이터의 내부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.